자반고등어 - 박후기 (1968~ )
‘자반고등어’ - 박후기 (1968~ )
가난한 아버지가 가련한 아들을 껴안고 잠든 밤
마른 이불과 따뜻한 요리를 꿈꾸며 잠든 밤
큰 슬픔이 작은 슬픔을 껴안고 잠든 밤
소금 같은 싸락눈이 신문지 갈피를 넘기며 염장을 지르는, 지하역의 겨울밤
--------------------------------------------------------------------------------------------
넉 줄밖에 안 되는 이 시행 사이엔 무수한 서사가 들어 있다. ‘큰 슬픔’의 정체가 무엇인지, 따질 필요는 없다. 그저 읽으라. 그리고 시행들 사이의 장면을 느끼라. 두 마리의 생선이 소금에 절여져 그러나 껴안고 있는 그 아름다운 아픔, 거기에 오버랩되는 어떤 노숙자의 껴안고 있는 잠, 나아가 이 시대를 사느라 고단한 모든 잠들, 그리하여 이 작은 시 다큐멘터리는 ‘소금 같은 싸락눈’의 휘날리는 춤으로 끝난다. 그 시 이야기를 느끼라. 이 도시의 구석 선반 한 끝에 있는 자반고등어의 이야기를. 느낌은 해석 또는 분석을 압도한다. 당신의 느낌이 해석 또는 분석을 앞지름을 의심하지 말라. 당신의 느낌에 프라이드를 가져라. 아침의 시들은 모두 느낌이 해석 또는 분석을 앞지르는 시들이다. <강은교·시인>
눈물이 날라 그런다. 슬픈 시임에는 틀림없다. 제목만으론 군침을 흘렸는데 이제 자반도 먹기 힘들듯하다. 그 누가의 이 시인처럼 부정과 살이의 고단함을 달래는 초라한 잠을 감히 누가 자반고등어에 비유할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월드컵으로 인해 들뜬 분위기를 자중하고 주변을 좀 돌아볼 일이다. 축제에 낄 엄두를 못내는 지친 사람들에게는 지금의 이 소란이 고문일 수도 있잖을까 생각해 본다.-헐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