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새 그리고 햇빛-정희성(1945~)

~Wonderful World 2013. 4. 8. 07:21

새 그리고 햇빛정희성(1945~ )

 

 


바닷가에 서서
수평선을 보느니
물새 몇 마리 끼룩대며 날아간
어두운 하늘 저 끝에
붉은 해가 솟는다
이상도 해라
해가 해로 보이지 않고
구멍으로 보이느니
저 세상 어드메서
새들은 찬란한 빛무리가 되어
이승으로 돌아오는 걸까


-----------------------------------------------------------------------------------------


정희성 시인은 염결하고 결곡한 동양적 선비의 정신을 가진 지사풍의 시인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그의 진면목은 ‘발표 안 된 시 두 편만 가슴에 품고 있어도’ 자신을 부자라고 믿는 때 묻지 않은 천진함에 있다. 그런 그를 볼 때마다 나는 가파른 시대를 꿋꿋하게 견디고 지켜온 힘의 원천이 그 천진함에 있다고 생각하곤 한다. 아직 어두운 동트기 전의 시간, 시인은 바닷가에서 멀리 수평선을 바라보고 있다. “물새 몇 마리 끼룩대며 날아간/어두운 하늘의 저 끝”은 하루, 한 시대가 끝나고 또 시작되는 지점이다. 그래서 아직은 어두운 하늘이지만 그곳에서 붉은 해가 솟는 것이다. 끝과 시작의 합일점인 곳에서 떠오르는 해가 시인은 구멍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냥 해가 아니라 끝과 시작,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구멍을, 아니 새들이 찬란한 빛의 무리가 되어 돌아오는 길을 발견하고 있다. 놀랍다. 어둠 속에서 구멍을, 아니 길을 찾다니.(곽효환·시인·대산문화재단 사무국장)

 

새 그리고 햇빛- 정희성(1945~ ).hwp

새 그리고 햇빛- 정희성(1945~ ).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