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무덤 앞에서 이젠 울지 말아요.
나는 거기 없어요, 나는 잠들지 않아요.
나는 이리저리 부는 천 개의 바람이에요.
(중략)
나는 밤이 되면 부드럽게 빛나는 별이에요.
나의 무덤 앞에서 이젠 울지 말아요.
나는 거기 없어요, 나는 죽지 않았어요.
- 메리 엘리자베스 프레이(1905~2004)
‘나는 천 개의 바람이에요’ 중에서
13살 때 미국으로 음악공부를 하러 떠난 나는 지금도 한국에 오면 그 시절 소녀로 돌아가는 기분이다. 두려움 많고 질문이 끝이 없었던 어린 내가 되살아나 여기저기를 두리번거린다. 20대에 세계 음악 무대에서 최고 연주자가 되겠다는 꿈을 달성하려 몸부림치며 살 때는 항상 ‘나 나 나’ 하며 나를 중심으로만 살았다. 결혼하고 첫 아기를 낳았을 때 비로소 생명의 소중함을 알았다. 나는 창조자가 되어 상상도 못할 기쁨과 동시에 어마어마한 책임감을 느꼈다.
손가락 부상을 이겨내고 연습에 몰두하고 있을 때 세월호 참사가 터졌다. 두 아이의 어미인 나는 바다 밑으로 사라진 그 소년소녀들 혼이 없어지지 않았다고 믿는다. 아이들은 우리랑 같이 있다고 믿는다. 모두 더 좋은 세상에서 다시 만나리라 믿는다.
참담한 와중에 이 시를 노랫말로 한 음악을 들었다. 음악은 내 뼛속, 몸속, 혼에 녹아들어 나를 지탱해주는 보물이다. 음악은 그만큼 위대하다. 지금 마음이 갈가리 찢어지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넋을 놓고 계실 아이들의 부모님께 이 음악을 바친다. 그 아이들이 우리 미래를 다시 일으켜 세울 큰 바탕이 될 것을 믿는다.
정경화 바이올리니스트·이화여대 석좌교수
'중앙일보 '나를 뒤흔든 시 한 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가 새장에 들어가기를 기다릴 것 (0) | 2014.06.04 |
---|---|
인생무상 뜻이 절절해서 (0) | 2014.06.04 |
아이스 링크 가장자리로 여섯 살짜리 딸을 이끈다. (0) | 2014.05.30 |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 만해 한용운(1879~1944) ‘님의 침묵’ 중에서 (0) | 2014.05.21 |
어머니 나의 어머니 자랑스런 나의 어머니~ - 송관은(1941~ ) ‘어머니 사랑’ (0) | 201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