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
-김수복(1953~)
눈을 감고 하늘을 올려다보니
사이가 참 좋다
나와 나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나무와 나무 사이
새들과 새들 사이
지는 해와 뜨는 해 사이
도착하여야 할 시대의 정거장이 있다면 더 좋다.
이것과 저것의 간격을 사이라고 한다. 또한 이것과 저것의 관계도 사이다. 간격이든 관계든 둘 다 거리 조정이 필수적이다. 거리 조정에 실패하면 다툼이 생기고 전쟁이 터지고 사람이 죽는 일도 벌어진다. 사이가 파괴되는 것이다. 마지막 행은 윤동주의 산문 ‘종시(終始)’의 한 구절이다. 정거장은 도착하는 지점이지만 새롭게 떠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이 시에서 시인의 새로운 각오와 도전의 정신을 읽는다. 정거장은 편히 쉬는 곳이 아니다. 천리 길을 시작하는 곳이다.
<안도현·시인·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사이
-김수복(1953~)

사이가 참 좋다
나와 나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나무와 나무 사이
새들과 새들 사이
지는 해와 뜨는 해 사이
도착하여야 할 시대의 정거장이 있다면 더 좋다.
이것과 저것의 간격을 사이라고 한다. 또한 이것과 저것의 관계도 사이다. 간격이든 관계든 둘 다 거리 조정이 필수적이다. 거리 조정에 실패하면 다툼이 생기고 전쟁이 터지고 사람이 죽는 일도 벌어진다. 사이가 파괴되는 것이다. 마지막 행은 윤동주의 산문 ‘종시(終始)’의 한 구절이다. 정거장은 도착하는 지점이지만 새롭게 떠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이 시에서 시인의 새로운 각오와 도전의 정신을 읽는다. 정거장은 편히 쉬는 곳이 아니다. 천리 길을 시작하는 곳이다.
<안도현·시인·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사이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릿발-송종찬(1966~) (0) | 2019.04.04 |
---|---|
나는 벌써-이재무(1958~) (0) | 2019.04.04 |
늙음-최영철(1956~) (0) | 2019.04.04 |
석유-송경동(1967~ ) (0) | 2019.04.04 |
벼랑의 나무-안상학(1962~ )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