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예,
-한영옥(1950~ )
붓꽃이
붓꽃이라는 이름을
제대로 들고 나온
6월의 꽃봉오리 시절에도
알다시피 그 붓으로는
일획도 긋지 못한다
붓끝처럼 단정하다는 것이지
누가 먹 묻혀 그어보라 했겠는가
바득바득 덤비는 것들의 부류여
그예, 꽃봉오리를 획 분지르는 것들의 부류여
6월의 붓꽃 봉오리는 붓을 닮았다. 그래서 붓꽃이라 불리었겠지. 시인은 이 닮음에 의문을 던지는 가운데 인간의 오래된 병폐를 들추어낸다. 닮음은 같음이 아니다. 붓꽃이 붓과 다르듯 인간은 인형과 다르다. 붓꽃에 함부로 먹칠을 해서는 안 되듯 인간을 인형처럼 대하고 해쳐선 안 된다. 분질러진 꽃에도 다친 인간에게도 똑같이 피가 난다. 덤비는 것들의 부류가 세상을 활보할 때.
<이영광·시인·고려대 문예창작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그예,
-한영옥(1950~ )

시아침 10/17
붓꽃이라는 이름을
제대로 들고 나온
6월의 꽃봉오리 시절에도
알다시피 그 붓으로는
일획도 긋지 못한다
붓끝처럼 단정하다는 것이지
누가 먹 묻혀 그어보라 했겠는가
바득바득 덤비는 것들의 부류여
그예, 꽃봉오리를 획 분지르는 것들의 부류여
6월의 붓꽃 봉오리는 붓을 닮았다. 그래서 붓꽃이라 불리었겠지. 시인은 이 닮음에 의문을 던지는 가운데 인간의 오래된 병폐를 들추어낸다. 닮음은 같음이 아니다. 붓꽃이 붓과 다르듯 인간은 인형과 다르다. 붓꽃에 함부로 먹칠을 해서는 안 되듯 인간을 인형처럼 대하고 해쳐선 안 된다. 분질러진 꽃에도 다친 인간에게도 똑같이 피가 난다. 덤비는 것들의 부류가 세상을 활보할 때.
<이영광·시인·고려대 문예창작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그예,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추-김응교(1962~ ) (0) | 2018.11.02 |
---|---|
단풍-박현수(1966~ ) (0) | 2018.10.29 |
셔틀콕-김은경(1976~ ) (0) | 2018.10.25 |
땅거미 속으로 저무는 풍경-남진우(1960~ ) (0) | 2018.10.24 |
바람 불고 고요한-김명리(1959~ ) (0) | 201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