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리안 텐트’-허수경
마음이 썩는 곳은 어디인가. 열정의 불길이 휩쓸고 간 마음에 찾아오는 저 온전한 고요. ‘기다림’의 이유였던 ‘너’에게조차 ‘나’를 들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따라가 본다. 시인은 짧게 말한다. “버림받은 마음으로 흐느끼던 날들이 지났다”고. 그리하여 비로소 ‘겹겹’의 산중에서 썩은 마음이 ‘물’처럼 흘러내린다고. 그래서 이 시는 우연히 발생한 단면적인 서정이 아니라 겹겹으로 곰삭고 다져진 시간과 공간의 서사가 된다. 유랑의 먼 길을 돌아온 마음이 어느 순간 맞닥뜨린 찰나의 절대고독 같은 것. 그러나 정작 이 시가 숨 막히는 이유는 무심한 듯 던져놓은 마지막 연에 이르러서이다. 적막조차 생활로 받아 안는 저 무서운 고독의 이미지! <신용목·시인>
2009.02.21 00:06 입력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광욕’- 이문재(1959∼ ) (0) | 2009.02.27 |
---|---|
바깥에 대한 반가사유’ - 황지우(1952∼ ) (0) | 2009.02.24 |
‘마흔네 개의 눈사람’-최승호(1954~ ) (0) | 2009.02.20 |
‘겨울 논’-조용미(1962~ ) (0) | 2009.02.19 |
‘젊음을 지나와서’ 부분 - 김형수(1959∼) (0) | 200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