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의 죽음을 애도함' - 추사 김정희(1786~1856)
어떻게 월로께 호소를 하여
서로가 내세에 바꿔 태어나
천리 밖에서 내가 죽고 그대는 살아서
이 마음 이 설움 알게 했으면
제주도에서 귀양살이하던 명필 추사 김정희의, 죽은 아내를 위한 시. ‘내가 죽고 그대는 살아서’의 구절을 읽으면 무수한 이 땅의 결혼들이 속삭이는 소리를 몇 백 년 전의 추사도 중얼거리고 있음에 가슴이 따뜻해진다. 아마 제주도에서 귀양살이하고 있었기에 그 슬픔은 더 절절했을 것이다. 그는 또 이런 추도 산문도 쓰고 있다. “어허! 어허! 무릇 사람이 다 죽어갈망정 유독 부인만은 죽어서는 안 될 처지가 아니겠소…. 지금 끝내 부인이 먼저 죽고 말았으니 먼저 죽어가는 것이 무엇이 유쾌하고 만족스러워서 나로 하여금 두 눈만 뻔히 뜨고 홀로 살게 한단 말이오.” 슬픔과 고독, 그리고 그리움의 삼중주라고나 할까. 시는 바로 이 지점, 슬픔과 고독, 그리움이 함께 있는 곳에서 일어선다. 이 아침 이곳의 모든 결혼들이여, 시들이여, 아름다운 삼중주의 선율을 울리기를. <강은교·시인>
아내의 죽음을 애도함 - 추사 김정희(1786~1856).hwp
아내의 죽음을 애도함 - 추사 김정희(1786~1856).hwp
0.01MB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에게’ - 백인덕 (1964 ~ ) (0) | 2010.07.05 |
---|---|
그리움엔 길이 없어 - 박태일(1954~ ) (0) | 2010.07.02 |
메르세데스 소사 - 1 - 구광렬(1956~ ) (0) | 2010.06.30 |
감사합니다 하나님 - 베르나르 다디에 (1916 ~ ) (0) | 2010.06.29 |
새 -이해인(1945~ ) (0) | 201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