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 김명인(1946~ )

걸음을 못 걸으시는 어머닐 업으려다
허리 꺾일 뻔한 적이 있다
고향집으로 모셔가다 화장실이 급해서였다
몇 달 만에 요양병원으로 면회 가서
구름처럼 가벼워 진 어머닐 안아서 차로 옮기다가
문득 궁금해 졌다, 그 살 죄다 어디로 갔을까?
삐꺼덕거리던 관절마다 새 털 돋아난 듯
두 팔로도 가뿐해 진 어머니를 모시고
산 중턱 구름식당에서 바람을 쐰다
멀리 요양병원 건물이 내려다 보였다
제 살의 고향도 허공이라며
어제 못 보던 구름 내게 누구냐고 자꾸 묻는다(…)
“어부바!”라는 감탄사를 요즘은 거의 듣지 못한다. 아기를 등에 업고 포대기를 두르는 대신 가슴에 안거나, 유모차에 태우고 다니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아기를 보면서 두 손으로 일을 하려면, 등에 업어야 했다. 와서 업히라고 아기를 부르는 “어부바”는 엄마의 가장 정겨운 목소리였다.
부모가 늙고 병들어 보행이 어려워지면, 업어서 모셔야 한다. 요양원에 입원한 뒤 갑자기 노쇠해진 어머니를 안아서 차에 태우던 아들은 어렸을 때 자기를 실팍한 등에 업고 다니며 길러 준 엄마, 몇 달 전만 해도 무거워 업을 수 없었던 어머니의 몸이 너무 가벼워서 놀란다. 온몸에 살이 다 빠지고 새털처럼 가벼워져서 마침내 하늘로 날아가 버릴 삶의 무게를 어머니는 자식에게 이렇게 가르쳐 준다. <김광규·시인·한양대 명예교수>
살.hwp
0.03MB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 읽히다 - 문현미 (1957~) (0) | 2014.08.25 |
---|---|
직박구리의 선물 - 김일영(1970~ ) (0) | 2014.08.18 |
어느 친구 - 구 상(1919~2004) (0) | 2014.08.14 |
커다란 나무 - 김기택(1957~ ) (0) | 2014.08.12 |
백지 1 -신달자(1943~ )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