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에 대하여
-서안나(1965~ )
막내 동생을
지우지 못하겠더란
어머니의 말
새끼손가락이 저려 오는
다섯이라는 말
내가 사는 빌라
흰 기저귀 펄럭이는 옥탑방
도면에도 없는
이마 순한 어린것의
붉은 잠투정을
너끈히 들어올리는
오층이란 말
다섯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던 어른들 말씀 생각난다. 막내 동생은 다섯 번째 아이, 다섯 번째 손가락은 새끼손가락. 제일 작아서 깨물면 제일 아플 것 같은 막내 손가락은, 사층 집 옥상 위의 옥탑방을 닮았네. 옥탑방은 제일 작은 다섯 번째 층. 도면엔 없는 방이지만, 여기 조그만 사람이 살고 있어요. 제일 높은 아기가 자고 있어요.
<이영광·시인·고려대 문예창작과 교수>
-서안나(1965~ )
막내 동생을
지우지 못하겠더란
어머니의 말
새끼손가락이 저려 오는
다섯이라는 말
내가 사는 빌라
흰 기저귀 펄럭이는 옥탑방
도면에도 없는
이마 순한 어린것의
붉은 잠투정을
너끈히 들어올리는
오층이란 말
다섯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던 어른들 말씀 생각난다. 막내 동생은 다섯 번째 아이, 다섯 번째 손가락은 새끼손가락. 제일 작아서 깨물면 제일 아플 것 같은 막내 손가락은, 사층 집 옥상 위의 옥탑방을 닮았네. 옥탑방은 제일 작은 다섯 번째 층. 도면엔 없는 방이지만, 여기 조그만 사람이 살고 있어요. 제일 높은 아기가 자고 있어요.
<이영광·시인·고려대 문예창작과 교수>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해에 내리는 눈 - 이수정(1974~ ) (0) | 2018.07.27 |
---|---|
산 - 이건청(1942~) (0) | 2018.07.24 |
숲을 바라보며 - 이수익(1942~ ) (0) | 2018.07.20 |
마음경(經) 3 - 홍신성(1944~) (0) | 2018.07.17 |
동행 - 고영민(1968~) (0) | 2018.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