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록
- 윤동주(1917~45)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ㅡ만 24년 1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ㅡ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 온다.
윤동주는 여전히 피 흐르는 우리의 상처다. ‘이다지도 욕됨’으로부터 그를 지켜줄 나라는 어디에도 없었다. 아비 노릇을 참칭하며 창씨를 강요하던 군국 일본은 젊은 그를 후쿠오카 감옥으로 잡아가 군수 의약품용 생체실험으로 죽였다. 바로 오늘이 그의 기일이다. 이 시는 유학을 위해 창씨개명이 불가피하던 1942년 1월 말의 시이자 조국에서 남긴 마지막 작품이다. 슬픔 속에서 그러나,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으며’ 치욕에 맞섰던 저 선량함과 신실함이 결국 세상을 살리는 힘임을 믿고자 한다. 일본의 적반하장이 도를 넘는 것을 속수무책 본다. 이렇게 만만한 나라가 된 것인가.
<김사인·시인·동덕여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참회록
- 윤동주(1917~45)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ㅡ만 24년 1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ㅡ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 온다.
윤동주는 여전히 피 흐르는 우리의 상처다. ‘이다지도 욕됨’으로부터 그를 지켜줄 나라는 어디에도 없었다. 아비 노릇을 참칭하며 창씨를 강요하던 군국 일본은 젊은 그를 후쿠오카 감옥으로 잡아가 군수 의약품용 생체실험으로 죽였다. 바로 오늘이 그의 기일이다. 이 시는 유학을 위해 창씨개명이 불가피하던 1942년 1월 말의 시이자 조국에서 남긴 마지막 작품이다. 슬픔 속에서 그러나,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으며’ 치욕에 맞섰던 저 선량함과 신실함이 결국 세상을 살리는 힘임을 믿고자 한다. 일본의 적반하장이 도를 넘는 것을 속수무책 본다. 이렇게 만만한 나라가 된 것인가.
<김사인·시인·동덕여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참회록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마드- 유경희(1964~ ) (0) | 2019.04.11 |
---|---|
아이들- 심언주(1962~ ) (0) | 2019.04.11 |
소곡(小曲) -박재삼(1933~97) (0) | 2019.04.10 |
질문의 책-3-파블로 네루다(1904~73) (0) | 2019.04.10 |
풀잎 -박성룡(1930~2002) (0) | 2019.04.10 |